본문 바로가기
인사노무지식이 돈이 되는 시간

단체협약의 규범적 효력, 유리성 원칙

by 북노마드 2023. 7. 19.
728x90
반응형

1. 규범적 효력

    1) 강행적 효력

    2) 보충적 효력

 


2. 유리성 원칙

    1) 법원의 경합 시

          - 단체협약과 취업규칙/근로계약과의 관계

             => 단체협약에 위반하는 취업규칙 또는 근로계약은 무효가 된다

 

 

             => 위반의 의미 

                   * 유리성 원칙 부정 : 다른 경우, 로 해석. 

                   * 긍정설 : 위반을 '미달'로 해석. 

                   * 의사해석설 

                      : 단체협약/취업규칙 - 무단결근 7일 연속시 징계해고 가능

                         => 근무기강 해이해져서 단협은 5일로 변경.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못해서 여전히 7일.

                         => 6일 무단결근자 발생 : 단협개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5일을 적용.


3. 협약 자치

    1) 근거 : 헌법 33조 1항 - 근로자는 근로조건 향상을 위해서 노동 3권을 가진다

                  => 원칙적으로 단체가 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음

    2) 한계 

         - 강행법규 및 민법 103조 위반해서는 안 됨

         - 근로조건 불이익하게 변경은 가능 (앞으로 청구권이 발생할 사항)

            : 원칙적으로 당연히 가능함. (ex. 기업 경영사정의 악화)

              => 개별 조합원이나 근로자들의 동의나 수권 불요.

            : 예외 - 현저히 합리성을 결여하여 노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경우

                      - 54~60세 정리해고를 하고 싶을 때 : 경영상 해고 대신 희망퇴직 실시하려고 함.

                        => 정년을 60세에서 54세로 변경 => 다음해부터 정년을 1년씩 늘림 => 무효이다라고 판결

 

 

         - 이미 발생한 청구권 포기 불가

            : 이미 수령한 성과급 반납하겠습니다 => 위법

            : 퇴직금 분할 약정 => 위법.


4. 사례연구

    1) A 합의 : 상여금 삭감  => 유효. 규범적 효력 있음

        B 동의서 : 당사간 쌍방의 서명날인을 받지 못 함 => 무효. 형식적 요건 미흡.

        C 합의 : 지급에 노력한다 => 대표이사와 합의 => 교섭의 주체가 아니므로 무료.

    2) 징계해고 정당성

        : 단체협약 근로조건 불이익 변경 => 유효

        : 근데, 취업규칙은 옛날 내용 => 이 경우, 단체협약을 적용한다.

   3) 96년 단협 : 짝수달 25일에 정기상여급 지급으로 규정

        <=> 97.12.30 단체협약 체결(특별 노사합의) 

                - 특별 노사합의 97.12월, 98.2/4/6월 : 총 4번의 정기상여급의 지급을 유보한다. 

                - 97.12월 기발생했기 때문에 무효.

                - 경영상 어려움이 있고, 특정기간만 유보했기 때문헤 98.2/4/6월은 유효함.


헌법 

제33조 ① 근로자는 근로조건의 향상을 위하여 자주적인 단결권ㆍ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② 공무원인 근로자는 법률이 정하는 자에 한하여 단결권ㆍ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③ 법률이 정하는 주요방위산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단체행동권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이를 제한하거나 인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민법

제103조(반사회질서의 법률행위)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위반한 사항을 내용으로 하는 법률행위는 무효로 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