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성원 자격
1) 단위노조 : 개별 근로자가 가입
2) 연합단체 : 노조 단위가 가입
2. 헌법 32조 : 근로의 권리
1) 자유권 + 사회권 : 사회권의 성격이 강함
3. 헌법 33조 : 노동 3권
1) 자유권적 성격 : 특히 단결권을 자유권으로 해석함
2) 사회권적 성격 : 신고 + 신고증 교부
4. 단결권
1) 개별적 / 집단적 단결권
2) 적극적 / 소극적 단결권 : 소극적 - 단결하지 않을 권리 => 적극적 단결권이 더 우위에 있음.
5. 설립요건
1) 실질적 요건
- 적극적 : 주체성, 자주성, 목적, 단체
- 소극적
* 가목 :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이익대표자 가입을 금지
: 사용자(사용자, 사경담, 행동) & 이익대표자
2) 절차적 요건
- 신고 : 최소 2명 이상이어야 함.
: 신고서 -
: 규약 -
- 신고증 교부 (*행정관청) : 심사 실시 => 심사의 범위가 문제시ㄷ뫼.
* 신고증 교부(3일)
=> 신고하고 3일이내에 교부해야 함. 하지만 3일이 경과해도 보완지시 or 반려처분 가능함.
* 보완지시
* 반려 (*실질적 요건에 하자가 있을 경우)
=> 노조의 자주성이 중요함 => 노조 내부에 민주성이 보장되어야 함.
=> 그런데 실질적 심사가 과연 가능한가?
판례는 가능하다고 봄(ex. 이익대표자 있는지 여부 확인)
그런데 광범위하다면 신고제가 아니라 허가제가 됨.
그래서 원칙적으로는 신고서 + 규약을 보고, 그 외에도 결격사항에 대한 객관적 정황이 있다면 범위 확대 가능함.
헌법
제32조 ① 모든 국민은 근로의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사회적ㆍ경제적 방법으로 근로자의 고용의 증진과 적정임금의 보장에 노력하여야 하며,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최저임금제를 시행하여야 한다.
② 모든 국민은 근로의 의무를 진다. 국가는 근로의 의무의 내용과 조건을 민주주의원칙에 따라 법률로 정한다.
③ 근로조건의 기준은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도록 법률로 정한다.
④ 여자의 근로는 특별한 보호를 받으며, 고용ㆍ임금 및 근로조건에 있어서 부당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
⑤ 연소자의 근로는 특별한 보호를 받는다.
⑥ 국가유공자ㆍ상이군경 및 전몰군경의 유가족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우선적으로 근로의 기회를 부여받는다.
제33조 ①근로자는 근로조건의 향상을 위하여 자주적인 단결권ㆍ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②공무원인 근로자는 법률이 정하는 자에 한하여 단결권ㆍ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③법률이 정하는 주요방위산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단체행동권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이를 제한하거나 인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노조법
제5조(노동조합의 조직ㆍ가입ㆍ활동) ① 근로자는 자유로이 노동조합을 조직하거나 이에 가입할 수 있다. 다만, 공무원과 교원에 대하여는 따로 법률로 정한다. <개정 2021. 1. 5.>
② 사업 또는 사업장에 종사하는 근로자(이하 “종사근로자”라 한다)가 아닌 노동조합의 조합원은 사용자의 효율적인 사업 운영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사업 또는 사업장 내에서 노동조합 활동을 할 수 있다. <신설 2021. 1. 5.>
③ 종사근로자인 조합원이 해고되어 노동위원회에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신청을 한 경우에는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판정이 있을 때까지는 종사근로자로 본다. <신설 2021. 1. 5.>
제10조(설립의 신고) ①노동조합을 설립하고자 하는 자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기재한 신고서에 제11조의 규정에 의한 규약을 첨부하여 연합단체인 노동조합과 2 이상의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도ㆍ특별자치도에 걸치는 단위노동조합은 고용노동부장관에게, 2 이상의 시ㆍ군ㆍ구(자치구를 말한다)에 걸치는 단위노동조합은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도지사에게, 그 외의 노동조합은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 이하 제12조제1항에서 같다)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개정 1998. 2. 20., 2006. 12. 30., 2010. 6. 4., 2014. 5. 20.>
1. 명칭
2.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
3. 조합원수
4. 임원의 성명과 주소
5. 소속된 연합단체가 있는 경우에는 그 명칭
6. 연합단체인 노동조합에 있어서는 그 구성노동단체의 명칭, 조합원수,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 및 임원의 성명ㆍ주소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연합단체인 노동조합은 동종산업의 단위노동조합을 구성원으로 하는 산업별 연합단체와 산업별 연합단체 또는 전국규모의 산업별 단위노동조합을 구성원으로 하는 총연합단체를 말한다.
제12조(신고증의 교부) ①고용노동부장관,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ㆍ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하 “행정관청”이라 한다)은 제10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설립신고서를 접수한 때에는 제2항 전단 및 제3항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3일 이내에 신고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개정 1998. 2. 20., 2006. 12. 30., 2010. 6. 4., 2014. 5. 20.>
②행정관청은 설립신고서 또는 규약이 기재사항의 누락등으로 보완이 필요한 경우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20일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보완을 요구하여야 한다. 이 경우 보완된 설립신고서 또는 규약을 접수한 때에는 3일 이내에 신고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개정 1998. 2. 20.>
③행정관청은 설립하고자 하는 노동조합이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설립신고서를 반려하여야 한다. <개정 1998. 2. 20.>
2.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보완을 요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간내에 보완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
④노동조합이 신고증을 교부받은 경우에는 설립신고서가 접수된 때에 설립된 것으로 본다.
'인사노무지식이 돈이 되는 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합원의 자격, 종류, 지위 (0) | 2023.07.26 |
---|---|
노동조합 설립요건 판례연구 및 법외노조 (0) | 2023.07.26 |
노조법상 근로자 및 노조법상 사용자 (0) | 2023.07.24 |
노조법상 근로자의 개념, [판례연구] 승진취소 (0) | 2023.07.24 |
공무원 노조법 및 교원 노조법 (0) | 2023.07.23 |
댓글